처음 중국에서 공부를 할 때, 북경 표준어 보다 더 정확한 발음이라는 동북어를 공부했었다.
그러다가 베이징으로 상하이로 와서 이번엔 상해어를 익히느라 적지 않는 수고를 했었는데 홍콩에 와서는 광동어 때문에 여간 불편한게 아니다. 물론 일상의 대부분 언어는 영어이기 때문에 큰 불편은 없으나 홍콩의 현지인들과의 생활속에서의 대화에 있어서는 난감할 때가 한두 번이 아니다. 홍콩인들은 본토 표준어를 대부분 잘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하여 일반 서민들이 영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는 것도 아니고...해서 결국은 스스로 광동어를 익혀가는 수밖에 다른 도리가 없다. 앞으로 홍콩에 대한 비전을 갖고 있을 사람들을 위하여 광동어의 가장 기초적인 부분들 중에서 몇 가지를 올려본다.
작은 도움이라도 되었음 하는 바램에서다.
1)숫자
0 (랭), 1(얏), 2(이), 3(삼), 4(세이), 5(으음), 6(록), 7(찻), 8(밧), 9(까우), 10(사압)
11(사압-얏).......20(이-사압)....45(세이-사압-으음)
홍콩에서 돈 단위는 원(圓)인데 기억할 것은 광동어는 말과 쓰는글이 다르다는것..... 보통 말로 할때는 모기를 뜻하는 蚊 으로 쓴다. 따로 글이 없어 이글을 대타로 쓰는것같다. 발음이 똑같아서.... 예를 들어 애기를 광동말로 비삐라고 하는데.... 이것을 구지 글로 표현하면 BB라고 쓴다. 광동어 구어(口語)를 글로 표현해 놓으면 같은 중국인이라도 못 알아보는것이 태반이다. 일단 구어로 돈의 단위는 蚊=만 (짧고 일성고음으로 읽어야한다)
*1불이면 얏만
10불이면 삽만
100불이면 얏박만
*1불50전일 경우... 50은 1불의 반이니까 반의라고 표현을 하는데 하나하고 반, 2불50은
둘 하고 반 이라고 표현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얏꼬(個)뿌운(半)=1불50전
*한국어에도 하나둘이있고 일이삼사가 있듯... 중국어에서는 2를 셀때는 룡(兩)이라고 한다.
그래서 2불50은 룡꼬뿌운 이라고 한다.
2.1불50전... 전이라는 단어도 따로 있는데..... 10-90전에서 "0"을 빼고 말한다...
에를 들면 10전은 얏호우(壕) 20전은 룡호우....
그럼 얼마냐고 물어 보고 싸다 비싸다 주세요 등등을 배워보자.
+얼마예요? : 게이도 친아?
+너무 비싸요: 호우 꽈이야
+ 좀 싸게 해주세요: 팽 슈슈라
+ 두개 주세요: 베이 오 룡꼬아 음꼬~이(실레지만이라는 말 광동어에서는 엄청 자주쓴다)
+ 이것은: 리꼬
저것은: 고오꼬
위는 : 숑비인
아래는: 하삐인(이건 쫌 발음이 앞것보다 쌔다) + 싸게해달라구 했는데 않된다하는 말은: 음딱! 이미 이정도면 싼거다하는 말은 : 이겡 팽갈라.... + 아이, 좀 싸게 해주세요..... : 아이야, 팽띨라 + 알았어요... : 호울라 호울라
2)인사말 광동어는 보통때는 안녕하세요로 통하는데 유독 아침에는 따로 굿모닝 같은 말이 있다.... 아침인사는 간단하게 한마디: 조우산 (일찍이네요...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그외에는 레이호우마 로 통한다. 뜻은 하우아유 랑 같은 말이다. 요즘 어떻게 지내세요? 라고 묻고 싶을때는 "래이 리파이 띰아~?" 라고 하면 됩니다. + 네 / 좋아요 < YES > : 하이 / 호우( 好 ): + 아니요 / 싫어요 < NO > : 음 하이 / 음 호우 : + 안녕하세요: 你好(레이 호우) + 감사합니다: 음꼬이- 이말은 식당에서 종업원을 부를 때도 쓰고, 그냥 형식적으로 고마움 표시할 때도 쓰고, 길을 비켜달라고 할 때도 쓴다 + 매우 고맙습니다 : 多谢(뚸지에)-진짜로 고마울 때 쓴다. + 어디 갑니까?(호이 빈 도우 아?): 택시기사들이 택시를 타면 물어보는 말이다. 또한 보통화의 ~~地方怎么走?처럼 "~~(지명) 어떻게 갑니까"라고 쓸 때도 + 미안합니다: 조금 미안할 때 "모우-이-시" 아주 미안할 때 "또이-음-쥐" + 괜찮아요~~( that's o.k) : 딱가라 ( 得架喇 ) : + 맞아요~ ( that's right ) 암 아 ( 岩 牙 ) : + 잘 자~ ( Good night ) :조우 타우 :
+ 잘 가 ~ ( Goodbye ) : 쪼이 낀 ( 再 見 ) : + 문제 없어요~ ( no problem )모우 먼 타이 ( 無 問 題 ) : + 아주 좋아~ ( very good ) 깽 호우 (勁 好 ) : + 절대 안돼~~(NO WAY)음 자이( 晤 制 ) :
+ 그럴 필요없어요 ( NO NEED)음 사이 : + 그래 않그래? 하이 마이 야? ( 係 味 牙 ? ) : + 잠깐 만~ (wait a minute)땅잔 (等 陣 ) : + 뭐가 잘못됐어? (something wrong with you? )까우 초아 ? : + 뭔 일이야? (what's the matter?) + 아~ : 피곤해 ( tired )좀 메아? : 호우 꾸오이 + 빨리 ( hurry up ) 화이 띠 라~ (快 D 喇 = 快 的 喇) : + 천천히 ( slowly ) 만 띠 라~(慢 D 喇 ) : + 영어 할수 있어? < Can you speak English ?> 네이 식(識) 음 식(識) 꽁 잉만(英文) ?
3)식당에서 종업원으로 부르는 말
+ 배고파요~ ( hungry ) 토우 오 아 : + 맛있어 ( delicious ) 호우 메이 ( 好 味 ) : + 아가씨 : 靓女(랭로이): "아름다운 아가씨" 남방에서는 보통화로도 "샤오지에"보다는 "샤오메이" 또는 "량메이(靓妹)"를 더 많이 씀. + 남자종업원 : 靓仔(랭자이): "랭로이"와 상대되는 말로 남자 종업원을 부를 때 쓴다. + 음꼬이: 비교적 격식을 차리고 부르는 말이다. "저기요. 미안합니다" 이 정도의 의미이다. + 밥 먹자 : 食饭(쌕판): 보통화 吃饭의 의미이다. "밥 먹고 합시다"라고 쓸 수 있다. + 차 마셔요 : 饮茶(얌차): 보통화 喝茶()의 의미이다. 차를 마실 때도 쓰지만, 아침식사 등 간단한 음식을 먹는 것도 "얌차"라고 한다. + 간단한 국수류나 만두류 등 간식거리 : 点心(딤섬): 보통화의 小吃의 의미이다. "얌차" 식당에 가면 많이 봄 4)기타 + 어디야? < Where is it? > 하이 삔 또우? + 몇 시야? <What time is it?> 께이 띰 종 ? : + 얼마나 걸려? < How long does it take? >유께이 로이 ? : + 홍콩 : 헝 꽁 (香 港) : + 여자 화장실 < Ladies' toilet >로이 치( 女 處 ): + 남자 화장실 < Men's toilet > 남 치 ( 男 處 ): + 대장금 : 大长今(따이-촹-감): 요즈음 홍콩과 광동성에서 가장 인기 있는 드라마 ..... 암튼 무지하게 헷 살린다..